반응형

IT/windows 15

반디집, 알집, 7zip-무료 압축 프로그램 비교 및 다운로드

예전 도스 시절이나 윈도우 초창기 시절엔 zip, lha 등을 압축하고 해제하기 위해 각각의 프로그램을 사용했었다.언제부턴가 윈도우 탐색기 안에서도 압축을 해제하는 기능이 생겨 편리하게 쓰고 있다. 하지만 폴더안에 압축을 푼다든지 암호를 걸때 별도의 압축프로그램을 찾을 수 밖에 없다.그래서 많이 사용하는 통합 압축프로그램 3가지를 소개하고 비교해 본다. 반디집7zip알집아이콘 무료 여부 가정과 기업은 물론 관공서, 학교, 군부대, PC방을 비롯한 모든 장소에서 상업적 및 비상업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7-Zip 은 무료 소프트웨어 과 오픈 소스 이다.아래의 코드의 대부분은 GNU LGPL 라이선스.개인만 무료. 기업용과 공공기관용 라이센스가 별도로 있기 때문에 반드시 구입해서 사용해야 한다. 설치시 유..

IT/windows 2025.01.23

윈도우에 '작업 끝내기'메뉴 만들기. 'ctrl + alt + del' 그만

윈도우 사용시 먹통이 되어 특정 프로그램 종료가 어려울때 'ctrl + alt + del' 눌러서 작업하지 말자.'작업 끝내기' 버튼을 활성화 시키면  'ctrl + alt + del'을 눌러서 프로그램을 찾아 강제 종료해야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1. Win+R2. CMD3. 터미널 프롬프트에 'start ms-settings:developers' 입력 후 엔터4. 개발자용 설정창에서 '작업 종료'를 '켬'으로 활성화. 5. 강제 종료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작업표시줄에서 마우스 우클릭과 함께 '작업 끝내기'항목 선택으로 끝.※윈도우 10 최신 버전 이후부터 적용가능

IT/windows 2024.12.10

탐색기에서 이미지 리사이즈, Power Toy

Image Resizer은 대량 이미지 크기 조정을 위한 Windows 셸 확장입니다. PowerToys 설치 후 File Explorer 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메뉴에서 이미지 리사이저로 크기 조정를 선택합니다. Power Toy 설치 링크(GitHUB) 위 링크에서 본인 윈도우 버전에 맞는 ' PowerToysUserSetup*.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체크박스에 체크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Image Resizer' 항목을 찾아 필요한 설정을 해줍니다. 새 크기를 추가해서 원하는 사이즈를 커스텀 할 수도 있습니다. Image Resizer을 사용하면 선택한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끌어다 놓아 이미지 크기를 조정할 ..

IT/windows 2024.07.20

윈도우 11 작업표시줄 아이콘 작게 만들기(크기 조절)

윈도우 10에서는 작업표시줄 아이콘을 작게 만들 수 있어서 모니터화면을 넓게 쓰는 느낌이 있었습니다.하지만 윈도우 11은 그 어디에도 작업표시줄을 작게 쓸 수 없는 방법이 없어서 그 방법을 찾아 보게 되었습니다. Github 에서 ExplorerPatcher 배포 페이지로 갑니다. 가장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줍니다. 안전하지 않은 파일이라며 브라우저에서는 다운로드를 거부하지만 그냥 받아 줍니다. ep_setup.exe 를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 그러면 화면 바탕화면이 한 번 '번쩍'하면서 설치가 되며, 업데이트도 알려줍니다. - '작업표시줄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 > 속성' 클릭- 작업 표시줄 스타일을 'Windows 10'으로 변경해줍니다. -작업 표시줄 아이콘 크기는 '작게'로 변경해줍..

IT/windows 2024.07.03

동영상 회전 프로그램

카메라도 사진을 세로로 찍은 것은 PC에서 뷰어로 볼때 세로로 보이지만, 영상은 세로로 찍어도 세로 영상이라고 인식을 못하고 재생시에 얌전히 누워(?)있어 활용이 불편할때가 있습니다.그 때 활용할 수 있는 무료 프로그램을 알려드리겠습니다.그 프로램은 'Free Video Flip And Rotate'라는 프로그램으로 아래 링크에서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이트 접속 Free Video Flip and Rotate: rotate video, flip videoSubscribe to our newsletter More than 200,000 subscribers!www.dvdvideosoft.com

IT/windows 2024.07.02

윈도우 속도 빠르게 하기(안써도 되는 서비스 죽이기)

잘 안쓰는 아니 안써도 모르는 서비스를 죽여서 쓸데없이 낭비되는 시스템 자원을 절약하고, 윈도우 사용 속도도 빠르게 느낄 수 있게 해보겠습니다. 윈도우키를 눌러 '서비스'를 검색합니다.  위 그림처럼 창이 뜨면 아래의 서비스를 찾아서 서비스를 중단해줍니다. 시작유형 : 사용 안 함 시작유형 : 사용 안 함 서비스 상태 : 중지   시작유형 : 사용 안 함 서비스 상태 : 중지 체감 속도가 완전히 빨라졌다고 느끼지는 못하지만 시스템 자원을 절약하여 극한 상황에 좀 더 잘 버틸수 있는 체력은 조금이나마 생기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IT/windows 2024.06.29

윈도우 시간에 요일도 나오게 하기

윈도우 11을 기본으로 말씀드립니다.윈도우 11우측 하단에 기본적으로 아래처럼 오전 오후 표시와 시간만 제공이 됩니다.이것을 요일도 나올 수 있게 세팅 할 수 있습니다.윈도우 키를 눌러 '제어판'을 검색해 줍니다.'제어판' 화면에서 '국가 또는 지역'을 선택합니다.하단의 '추가 설정'을 눌러줍니다.날짜 탭을 누르고 날짜 형식을 바꿔준다.'간단한 날짜' 에서 yyyy-MM-dd 이렇게 되어 있는 것을아래 그림 형광펜 칠한 것 처럼 yyyy-MM-dd'('ddd')' 이렇게 설정해주고 '확인'을 눌러준다.그러면 요일이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있다.이런건 좀 간단한 설정으로 해주면 좋으련만...

IT/windows 2024.06.29

윈도우 11 설치 도우미(Windows 11 Installation Assistant)

윈도우 10을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 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입니다.윈도우 10에서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서 할 수 도 있었지만 여러가지 사유로 거절 하느라 이것 저것 건드린 다음에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으니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 11 설치 도우미 사이트로 이동하기 해당 사이드로 이동하여 ' Before you begin using Installation Assistant'를 선택하면 'Windows11InstallationAssistant.exe'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IT/windows 2024.06.28

HWP 메일머지 사용 법

한글(HWP) 메일머지 사용법 메일머지는 이름, 번호, 직책, 주소 등이 담긴 데이터 파일과 서식 파일을 합쳐 하나의 결과물로 만드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서식은 유지되고 데이터 부분만 변경되어 수십 개, 수백 개의 내용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1. 한글 메일머지 표시하는 법 1. 한글 파일로 서식을 작성합니다2. 데이터로 활용될 엑셀 파일을 준비합니다3. 이름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한 후 상단의 [도구] 메뉴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메일 머지에서 "메일 머지 표시 달기"를 눌러줍니다4. 상단에서 [필드 만들기]를 선택해 주시고 숫자를 입력하거나 원하는 텍스트를 자유롭게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2. 한글 메일머지 만들기 방법1. 메일 머지를 표시까지 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메일 머지 만들기를 진행해 보겠..

IT/windows 2024.06.19

아래아한글(HWP) 문서 무료 디자인 템플릿 모음

HWP문서를 위한 다양한 서식과 디자인이 무료로 배포 되는 곳이 있습니다.'디자인.히읗' 이 바로 그 곳인데요.저는 이 업체와는 전혀 무관한 사람입니다만 너무 좋은 사이트라 소개합니다.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 그림처럼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합니다.더 멋진 유료 디자인도 많지만 정말 사용하기 무난한 기본 무료 디자인도 많습니다.유니크한 HWP문서를 원하시만다면 한 번 사용해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사이트 주소 https://hangeuldoc.blogspot.com 디자인.히읗아래한글 문서 디자인 - 표지, 간지, 내지, 머리말, 꼬리말, 인덱스, 목차, 도표hangeuldoc.blogspot.com

IT/windows 2024.06.05
반응형